주차 브레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차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뒷바퀴를 제동하여 차량을 고정하는 장치로, 핸드(수동식), 케이블 파킹식, 풋(족동식, 페달식), 전자식(EPB), 에어 브레이크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의 종류와 작동 방식에 따라 다르며, 비상 제동 및 경사면에서의 차량 정지 유지에도 사용된다. 대형 차량에는 동력 작동식 또는 동력 보조식 주차 브레이크가 장착되며, 철도 차량과 오토바이에도 유사한 기능을 하는 주차 브레이크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차 브레이크 | |
---|---|
개요 | |
이름 | 주차 브레이크 |
다른 이름 | 비상 브레이크 핸드 브레이크 |
종류 | 2차 자동차 제동 시스템 |
상세 정보 | |
목적 | 차량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조하는 것 |
작동 방식 | 케이블로 연결된 핸드 레버 또는 페달을 사용하여 작동 캘리퍼를 작동시켜 차량을 제동하거나 별도의 드럼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 |
작동 원리 | 기계적 연결을 통해 작동하므로 유압 시스템 고장 시에도 작동 가능 |
추가 정보 | |
주의사항 | 주행 중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함 |
안전 | 비상 상황에서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키는 데 사용 가능 구형 차량의 경우 유일한 제동 수단일 수 있음 |
2.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뒷바퀴에 작용하며, 레버나 페달을 통해 작동하는 기계식 방식이 일반적이다.[10] 과거에는 바닥의 브레이크 레버를 손으로 당기는 방식이 "핸드 브레이크" 또는 "사이드 브레이크"라고 불렸지만, 최근에는 풋 타입이나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가 늘어나면서 "주차 브레이크"라는 용어로 통일되었다.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시뿐만 아니라 풋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때 비상 브레이크로도 사용된다. 엔진 브레이크와 함께 주차 브레이크를 조금씩 당겨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는 경사면에 주차할 때 차량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1단 또는 후진 기어에 넣어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2][3][7][8][9]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도 변속기 내부의 주차 톱니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4][5]
경사면에 주차할 때는 바퀴를 연석 쪽으로 돌려놓아 차량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6] 영하의 날씨에는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이 얼어붙을 수 있으므로, 자동 변속기는 P단, 수동 변속기는 1단 또는 후진 기어에 놓고 고임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28]
LSD가 장착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 주차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차동 제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픽토그램 기호나 표시등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11]
주차 브레이크 사용 중이나 브레이크액 액면 저하 시 점등된다
2. 1. 종류
주차 브레이크 사용 중이나 브레이크액 액면 저하 시 점등된다]]주차 브레이크의 위치는 차량 모델과 제조사에 따라 다르지만, 작동될 때 계기판에 나타나는 경고등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18][19]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시뿐만 아니라 풋 브레이크에 이상이 생겨 차를 멈출 수 없을 때 비상용 브레이크로도 사용된다. 영하의 온도에서는 장시간 주차 시 브레이크 주변이나 와이어 피복 내의 수분이 동결되어 브레이크 해제가 불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자동변속기에서는 P 위치, 수동변속기에서는 엔진 정지 후 평지나 내리막에서는 후진(R), 오르막에서는 1단에 놓고 고임목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28]
2. 1. 1. 핸드(수동식) 주차 브레이크
일반적으로 많이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손으로 당기면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되고 상단 끄트머리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레버를 내리면 해제된다. 생산 단가가 적게 들어가며, 기계식으로 작동하여 신뢰성이 높다. 주로 중형급 미만의 승용차와 소형 상용차에 많이 사용된다.[28]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 콘솔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려면 레버를 위로 당겨 장력을 걸리게 한다. 브레이크를 해제하려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레버를 위로 당겨 래칫을 해제한 다음, 버튼을 계속 누른 채로 완전히 아래로 밀어 넣는다.[29]2. 1. 2. 케이블 파킹식
운전석 아래쪽에 있는 손잡이를 당겨 체결하고, 해제할 때는 손잡이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다. 1970~1990년대 트럭, 버스, 토요타 코로나 등에 적용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세대 현대 마이티 더블캡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주차 상태에서 저절로 해제되는 고장이 잦아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2. 1. 3. 풋(족동식, 페달식) 주차 브레이크
발로 밟아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방식이다. 본래는 중형급 이상의 고급 승용차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캐스퍼나 레이 등의 경차에도 적용된다. 브레이크 페달 왼쪽에 있으며, 핸드(수동식) 주차 브레이크와 같은 기계식이다.체결은 해당 페달을 밟아서 하지만, 주차 브레이크 해제는 차종에 따라 다르다. 계기판에 별도의 해제용 레버가 있는 차량은 해당 레버를 당겨 해제하고, 없는 차종은 주차할 때 밟았던 페달을 다시 밟아 해제한다. 수동식보다 조작이 간편하지만, 계기판에 표시등이 뜨기 전까지는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초보자에게는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28]
MT차에서는 클러치 페달과 혼동할 우려가 있어 풋 타입 주차 브레이크 채용 사례는 적다.
2. 1. 4. 일렉트로닉(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EPB)
EPB(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 정지 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주차 브레이크이다. 기어 레버를 P(주차)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해제되고, 다시 P 위치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체결된다. 생산 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부분 오토홀드 기능과 함께 장착된다. 다만, 3세대 쉐보레 콜로라도처럼 EPB가 장착되어도 오토홀드가 없는 경우도 있다.[29]최근 개발된 EPB(Electronic parking brake)는 전기식 파크 브레이크(electric park brake)라고도 한다. 2001년 BMW 7 시리즈(E65)에 처음 사용된 이후[20] 고급차를 중심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EPB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케이블 당김 방식: 전기 모터가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을 당기는 방식이다.
- 모터 온 캘리퍼(MoC) 방식: 아우디 A8에 처음 탑재된[21] 방식으로, 컴퓨터 제어 모터가 두 개의 후륜 브레이크 캘리퍼에 부착되어 작동한다.
재규어, 랜드로버, BMW, 르노, 스바루, 폭스바겐 등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차량 정지 시 주차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작동하고 가속 페달을 밟으면 해제되는 모델을 판매하여 운전자가 별도로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22][23] 또한, 언덕길에서 출발할 때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힐-홀드(hill-hold) 또는 힐-어시스트(hill-assist) 기능도 있다.[24]
EPB를 장착한 차종에서는 변속 레버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해제하는 기능이나, 신호 대기 등의 정지 중에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도 정지를 유지하는 오토 브레이크 홀드 기능을 갖춘 차종도 많다.[29]
2. 1. 5. 에어 브레이크
주로 트럭이나 버스 같은 대형 상용차에 많이 사용되며, 공기가 빠지는 소리와 함께 주차 브레이크가 체결된다. 초기에는 원형 레버를 누르거나 당겨서 작동하고, 해제할 때는 반대로 당기거나 눌러서 작동했다. 2000년대 들어서 점차 버저 방식에서 그래듀얼식으로 변경되고 있으며, 그래듀얼식 레버를 뒤쪽으로 젖혀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앞쪽으로 젖혀서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한다.2. 2. 작동 방식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시뿐만 아니라 비상 제동에도 사용된다.[33] 수동 변속기 차량에서는 특히 경사면에 주차할 때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2][3]자동 변속기 차량에도 변속기 내의 주차 톱니가 다른 차량의 충돌 등으로 인해 고장나 차량이 굴러갈 수 있기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 사용이 권장된다.[4][5]
오르막 경사면에 주차할 때는 주차 브레이크 고장 시를 대비해 조수석 앞바퀴가 연석에서 멀리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권장된다.[6] 내리막 경사면에서는 같은 이유로 앞바퀴가 연석을 향해야 하며, 연석이 없는 도로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옆으로 바퀴를 향해야 한다. 수동 변속기의 경우, 1단 기어(또는 내리막을 향하는 경우 후진 기어)에 두면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7][8][9]
대부분의 차량에서 주차 브레이크는 기계식으로, 레버를 당겨 케이블로 뒷바퀴 디스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10] 이 기계적 특성 덕분에 주 운전자는 주요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이 고장난 경우에도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다.[3]
픽토그램 기호 및/또는 표시등은 주차 브레이크의 위치, 작동 또는 해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11] 수동 및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 주차 브레이크는 오르막 경사로에서 출발할 때처럼 차량을 잠시 정지해야 하는 상황에 사용될 수 있다.[12][13] 신호등, 횡단보도에 차량이 정지하거나, 마주 오는 차량 앞에서 회전을 기다릴 때도 사용된다.[14] 주차 브레이크는 다른 차량이 뒤에서 충돌하여 차량이 앞으로 밀리는 경우에도 차량을 안전하게 유지한다.[15] 뒷바퀴를 잠그고 미끄러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 브레이크에 문제가 없는 한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16]
유압 브레이크 고장 시에는 주차 브레이크를 천천히 작동시켜 차량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때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버를 천천히 작동해야 한다.[17]
영하에서는 장시간 주차 시 브레이크 주변이나 와이어 피복 내의 수분이 동결되어 브레이크 해제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자동변속기에서는 P 위치에 레버를 세트하고, 수동변속기에서는 엔진 정지 후, 평지·내리막에서는 후진 위치의 "R", 오르막에서는 "1단"에 세트한다. 그 후, 바퀴 고임목을 바퀴에 끼우는 것이 권장된다. 전동형에 대해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경우도 많지만, 제조사는 기존형과 동일한 처치를 권장하고 있다.[28]
2. 3. 구조
대부분의 차량에서 주차 브레이크는 뒷바퀴에 기계식으로 작동한다.[10] 일반적으로 레버를 당겨 케이블을 통해 뒷바퀴 디스크 브레이크나 드럼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10]후륜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 주차 브레이크는 다음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한다.
방식 | 설명 |
---|---|
디스크 캘리퍼 작동 | 디스크 캘리퍼를 직접 작동시킨다. (힘은 덜 필요)[10] |
허브 내부 드럼 브레이크 작동 | 허브 어셈블리 내부에 장착된 작은 드럼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디스크 내경을 드럼 대신 사용하기도 함) |
대형 차량에는 동력 작동식 또는 동력 보조식 주차 브레이크가 장착된다. 동력 보조식 주차 브레이크는 일부 구형 대형 차량이나 대형 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반적인 주차 브레이크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레버를 당기면 공기압, 유압, 진공을 실린더로 유입시켜 브레이크 슈에 힘을 가해 주차 브레이크 작동을 돕는다.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때도 같은 메커니즘이 운전자가 래칫을 해제하는 것을 돕는다. 특히 공기 작동식 브레이크가 장착된 상업용 차량의 경우, 브레이크 작동에 충분한 공기압이 없으면 주차 브레이크 해제가 어렵거나 불가능해지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도 제한된 양의 동력 보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소나 축압기가 제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거의 모든 철도 철도 차량에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기계식 수동 제동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 장치는 브레이크를 설정하고 해제하며, 대부분 브레이크 실린더에서 작동하는 체인을 포함한다. 체인을 조이면 피스톤이 릴리스 스프링에 반대 방향으로 당겨져 차량 또는 보기의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최신 기관차는 체인 권취 메커니즘 대신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전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 브레이크는 자동 공기 브레이크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자동 공기 브레이크는 열차에 연결될 때 함께 작동하며 기관사/기술자의 제어를 받는다.
오토바이의 경우, 경사면에 주차하고 사이드 스탠드를 세웠을 때 차체가 미끄러져 넘어질 위험이 있다. 또한 언덕길에서 정차 시 손이나 발을 브레이크에서 떼도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주차 브레이크를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와이어식 드럼 브레이크나 유압식 브레이크를 장착한 차종에서, 기계적으로 브레이크 레버를 고정하는 간이식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갖춘 것이 존재한다. 빅 스쿠터의 경우 승하차 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등의 목적으로, 과거에 볼 수 있었던 브레이크 레버 록 기구와는 다른 전용의 "주차 브레이크 노브" 등의 장치를 갖춘 차종이 보인다.
[1]
웹사이트
Auto Repair: The Parking Brake
https://www.military[...]
2019-05-11
이 보조 드럼 주차 브레이크는 '뱅크시아 브레이크'라고도 불린다. 다중 피스톤 캘리퍼를 사용하는 후륜 디스크 브레이크는 기계적 작동이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소형 케이블 작동식 캘리퍼(예: Wilwood MC4)를 주차 브레이크 전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변속기 브레이크는 드라이브라인에 별도의 드럼 브레이크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다른 브레이크 시스템과 독립적이며 여러 구동 차축이 있을 때 효과적이다.
라인 락은 차량의 표준 유압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네 바퀴를 모두 잠그는 임시 주차 브레이크이다.
3. 대형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공기 브레이크가 장착된 대형 상업용 차량에는 동력 작동식 주차 브레이크가 장착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스프링 작동식으로, 공기압은 브레이크 해제에 사용되고 강력한 스프링은 브레이크를 작동 상태로 유지한다. 대부분의 경우, 운전석 내의 작은 레버는 주차 브레이크 실린더에 공기를 유입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거나, 공기를 배출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밸브에 연결된다. 일부 최신 차량에서는 밸브가 운전석 내 레버나 버튼에서 전기적으로 작동한다. 이 시스템은 공기압이 손실되면 스프링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다. 또한, 풋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공기압이 없을 경우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점으로는 차량 견인이 필요하고 자체 공기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주차 브레이크 해제를 위해 외부 공급 장치를 제공하거나 브레이크 슈를 스프링에 반하여 수동으로 풀어야 한다는 점이 있다.[1]
중기 브레이크 규제 대응 이전에 제작된 대형차나 일부 사륜구동차에서는 프로펠러 샤프트(추진축)를 구속하는 "센터 브레이크"가 채용되었다. 이는 변속기 바로 뒤에 설치되며, 파이널 드라이브 기어의 감속비에 따라 구속력이 강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주차 브레이크 작동 중에도 디퍼렌셜 기어의 작용으로 양쪽 바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량이 움직일 위험이 있다. 특히 마찰 계수가 낮은 눈길이나 결빙 노면에서의 주차나, 한쪽 바퀴만 잭 업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길에서의 전동은 다른 방식에 비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중기 브레이크 규제에 대응한 대형 차량의 경우, 휠 파크식 주차 브레이크가 주류가 되고 있다.[2]
2000년 전후에 출시된 대형 트럭은 주차 브레이크 작동에 파워 스프링을 사용하는 휠 파크식 주차 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다. 주차 시에는 파워 스프링의 힘으로 휠을 고정한다. 주행 시에는 주차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챔버에 압축 공기를 보내 압축 공기의 힘으로 스프링을 밀어 넣어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미쓰비시 후소의 베스트 원 파이터는 2019년 9월 마이너 체인지로 4t 차량에도 휠 파크식 주차 브레이크를 표준 탑재하고 있다.[3]
4. 철도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수동 수동 브레이크는 철도 차량이 철도 야드나 고객에게 하역 또는 적재를 위해 배치된 후 차량을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특히 무인 상태에서 주차된 열차가 실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19세기 후반에 기관차 작동 열차 제동 시스템이 개발되기 전에는, 미국의 철도에서 제동수를 고용하여 차량 상단을 돌아다니며 기관사의 신호에 따라 수동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열차를 정지시키려고 했다. 이 과정은 부정확하고 매우 위험했다. 많은 제동수가 움직이는 열차에서 떨어져 생명과 사지를 잃었으며, 얼음이 얼고 젖은 조건은 흔들리는 박스카 상단을 오가는 데 관련된 위험을 종종 더했다.[26] 미국에서는 1893년 연방법인 철도 안전 장치법에 따라 1900년부터 모든 철도에 자동 브레이크를 설치해야 했다.[27]
5. 오토바이용 주차 브레이크
참조
[2]
웹사이트
5 Important Tips for Parking a Manual Transmission Car
https://oards.com/ti[...]
2019-05-12
[3]
웹사이트
Why You Should Set Your Parking Brake
https://drivrzone.co[...]
2019-05-12
[4]
웹사이트
Things You Should Never Do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https://www.apautopa[...]
2019-05-12
[5]
웹사이트
When to Use Your Parking Brake {{!}} Firestone Complete Auto Care
https://blog.firesto[...]
2019-05-12
[6]
웹사이트
7 Trusted Steps to Park on a Hill Without Serious Accidents
http://driving-tests[...]
2019-05-12
[7]
웹사이트
Controlling your vehicle {{!}} DVSA - Safe Driving for Life
https://www.safedriv[...]
2019-05-12
[8]
웹사이트
Do you leave your car in gear?
https://conversation[...]
2019-05-12
[9]
뉴스
How to park correctly on a hill
https://www.theglobe[...]
2019-05-12
[10]
웹사이트
How to Use a Parking Brake {{!}} Wagner Brake
https://www.wagnerbr[...]
2019-05-12
[11]
Youtube
Parking brake indicator
https://dashboardsym[...]
[12]
웹사이트
How to do a hill start: uphill and downhill
https://www.drivingt[...]
2019-05-12
[13]
웹사이트
Hill Starts – Driving Test Tips
https://www.drivingt[...]
2019-05-12
[14]
웹사이트
When To Use Handbrake – Driving Test Tips
https://www.drivingt[...]
2019-05-12
[15]
웹사이트
Handbrake – Long stay or Short stay?
https://www.iam-bris[...]
2019-05-12
[16]
웹사이트
Learning to drive - the Handbrake
http://www.drivinghe[...]
2019-05-12
[17]
웹사이트
Car Myths Debunked – When to Use Your Emergency Brake
http://knowhow.napao[...]
2019-05-11
[18]
웹사이트
Understanding What Dashboard Warnings Mean - Direct Line
https://www.directli[...]
2019-05-12
[19]
웹사이트
Brake Warning Light
https://www.aa1car.c[...]
2019-05-12
[20]
웹사이트
PH Origins: Electronic parking brakes {{!}} PistonHeads
https://www.pistonhe[...]
2019-05-11
[21]
웹사이트
trw.com
http://www.trw.com/b[...]
2013-12-18
[22]
웹사이트
What is an electronic parking brake or electronic handbrake?
https://www.carwow.c[...]
2019-05-11
[23]
웹사이트
What is an electronic parking brake? {{!}} Parkers
https://www.parkers.[...]
2019-05-11
[24]
웹사이트
What would happen if you engaged electronic parking brake while driving?
https://www.technolo[...]
2019-05-11
[25]
웹사이트
Hudson Motor Car Company - Hudson Car Club - Hudson, Essex, Terraplane Cars
http://www.hudsonclu[...]
Hudsonclub.org
2011-04-24
[26]
서적
The Federal Railroad Safety Program
http://www.fra.dot.g[...]
U.S.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27]
문서
United States. Act of Mar. 2, 1893, {{usstat|27|531}}, recodified, as amended, {{USC|49|20302}}.
[28]
웹사이트
寒冷地での使いかた
https://www.subaru.j[...]
スバル
2019-01-19
[29]
웹사이트
【一度味わったらやめられない】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要「オートホールド」の長所と短所
https://bestcarweb.j[...]
2024-06-09
[30]
웹인용
Why You Should Always Set the Parking Brake {{!}} YourMechanic Advice
https://www.yourmech[...]
2019-05-12
[31]
웹인용
How the Parking Brake Works {{!}} YourMechanic Advice
https://www.yourmech[...]
2019-05-11
[32]
웹인용
Auto Repair: The Parking Brake
https://www.military[...]
2019-05-11
[33]
서적
Car Brakes : a Guide to Upgrading, Repair and Maintenance.
Crowood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